반응형

중국은 대약진 운동을 하면서 농업 생산량을 끌어올리기 위해 참새를 소탕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는 오히려 대기근을 가져와 수 천만명의 아사자를 발생시켰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약진 운동 속 참새 소탕작전에 대해 소개합니다. 

 


참새를 때려잡은 이유

중국은 1958년부터 1962년까지 공업을 비약적으로 발전시켜 영국의 경제력을 따라잡는 '대약진 운동'을 추진합니다. 왜 하필 영국의 머리채를 잡았느냐 하면 당시 자본주의 진영에서는 미국이 1위, 그 뒤를 이어 영국이 경제력이 높았습니다. 한편 중국은 소련 다음의 사회주의 국가였기 때문에 소련이 미국을 따라잡고, 중국이 영국을 따라잡자는 논리였던 것입니다.

 

하지만 대약진 운동은 높은 이상과는 달리 비현실적이고, 구체적이지 못한 계획으로 인해 오히려 중국 경제를 20년 퇴보시켰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농업 생산량을 끌어올리겠다며 참새를 때려잡았던 제사해 운동이었습니다.

 

제사해-운동

 

사실 제사해 운동은 참새만 때려잡는 운동이 아니였습니다. 제사해(除四害)란 '해로운 네 가지를 제거한다'는 의미로 참새 외에도 , 모기, 파리도 함께 박멸 대상에 포함되었습니다. 하지만 쥐, 모기, 파리는 해로운 이유가 이해가 되지만, 왜 참새가 이 대상에 포함되었는지는 의문이 드실 수도 있습니다.

 

사실 참새는 추수기가 되면 곡물을 훔쳐먹기 때문에 많은 농민들의 골칫덩어리 이기도 합니다. 추수기에 논밭에 허수아비를 세워두는 이유도 결국 참새 등의 조류를 쫓아내기 위함이죠. 마오쩌둥은 농촌 태생이기도 하고, 농촌 위주로 사회주의 운동을 전개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이유로 인해 참새를 유해한 조류로 지목했던 것입니다.

 

제사해 운동의 결과

하지만 마오쩌둥이 간과한 사실이 있었습니다. 바로 추수기가 아닌 평소에는 참새가 해충을 잡아먹어 농사에 도움을 주고 있었다는 사실입니다. 실제로 제사해 운동으로 참새의 개체수가 줄어들자 반대로 해충이 창궐하면서 대기근이 발생하였습니다.

 

대약진-운동-사진

 

특히 다른 유해동물인 쥐, 모기, 파리는 잡기 어려운 반면, 참새는 비교적 잡기가 쉬웠기 때문에 중국인들은 참새잡이에 더욱 몰입하였습니다. 그래서 사실상 '제사해 운동'이 아니라 '참새 박멸 운동'이 되어버려 사태는 더욱 심각해 졌습니다.

 

결국 대기근이 발생하고 나서야 중국 지도층은 상황이 잘못 돌아가고 있다는 점을 깨닫고 제사해 운동을 중지 시킵니다. 그러고는 소련에 요청하여 연해주에서 참새 20만 마리를 공수해오는 웃지 못할 역설을 보여줍니다.. 

 

제사해 운동은 식량 부족과 전염병 창궐과 맞물려 막대한 사망자를 발생시켰습니다. 사망자는 정부 추정치만 약 2천만명이고, 최대 6천만명까지 보는 학자도 있습니다. 한국의 인구가 5천만이 안되는 걸 보면 엄청난 수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도 회자되는 이유

창천항로-속-대약진-운동-참새잡이

중국의 참새 박멸 사건은 워낙 임팩트가 커서 지금까지도 회자되고 있습니다. 특히 일본의 삼국지 만화 <창천항로>에는 마오쩌둥이 "해로운 새다"라는 대사와 함께 참새의 박멸을 지시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인터넷 상에서 여러 짤로 돌아다니고 있습니다. 

 

특히 짤에서는 해로운 새에 참새 대신 파란새 모양의 트위터 로고를 박아 트위터로 인한 사회 혼란이 야기되었을 때 조롱하는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생각해보면 트위터를 비롯한 SNS도 순기능과 역기능이 혼재되어 있어 제사해 운동의 참새와 비슷한 성격이 있습니다.

 

결국 제사해 운동은 헛된 이상주의와 독단적인 의사결정의 위험성을 알려주는 역사 사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대약진 운동에서 참새를 박멸하게 된 이유인 제사해 운동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참고로 아래에서 관심있는 태그를 클릭하면 관련 포스팅들을 볼 수 있으니 참고바랍니다. 

 

 

중국 미세먼지 짤 모음

중국 미세먼지 짤 모음입니다. 중국에서 얼마나 미세먼지와 황사 문제가 심각한지 알 수 있겠네요. 중국 미세먼지 짤 중국에서 길거리를 걸으면서 숨을 쉬려면 이정도 도구를 갖춰야 합니다. SF

china-pedia.tistory.com

 

여진족 머리, 변발컷은 북방 유목민의 전통 헤어스타일

최근 예능이나 인터넷 방송에서 '변발컷'이라 하여 여진족 머리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사실 여진족 머리는 북방 유목민의 전통 헤어스타일로 깊은 역사가 있습니다. 변발이란 무엇인가?

china-pedia.tistory.com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