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벌거벗은 세계사 측천무후 편에 참고자료로 판빙빙이 측천무후로 연기한 드라마가 반복적으로 나왔습니다. 이 드라마의 제목은 2014년 후난위성TV에서 방영한 '무미랑전기(武媚娘传奇)' 입니다.

 

측천무후란 누구인가?

측천무후는 중국 역사 최초이자 유일한 여황제입니다. 세계사적으로 봐도 여황제가 별로 없는데다가 측천무후처럼 오랜기간 동안 권력을 휘두른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중국 역사에서 두고두고 회자되고 있는 역사인물입니다. 심지어 그녀는 신하들의 거사(신룡정변)으로 황제 자리에서 퇴위된 후에도 천수를 누렸기 때문에 당시에 얼마나 막강한 권력을 지니고 있었는지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한편 그녀는 권력을 위해 정적(황후 왕씨, 숙빈 소씨)는 물론 자신의 자식까지도 서슴없이 제거하였기 때문에 중국 역사에서는 여태후, 서태후와 함께 중국의 3대 악녀로 불리기도 합니다. 중국 3대 악녀에 대해서는 일전에 다른 포스팅에서 소개한 바 있습니다.

 

중국 3대 악녀, 그녀들의 악행은?

중국 3대 악녀 소개 중국 3대 약녀는 중국 역사에서 나라를 위기로 몰고갈 정도로 권력을 휘둘렀던 3명의 악녀를 말한다. 중국 3대 악녀의 맴버로는 한나라 초대 황제 유방의 부인인 여태후(여치)

china-pedia.tistory.com

 

벌거벗은 세계사 측천무후 편에서도 잠시 언급된 바 있는데, 측천무후가 당 태종(이세민)의 후궁 시절에 '무씨 성을 가진 이쁜이'라는 의미의 '무미랑(武媚娘)'이라는 애칭으로 불렸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 이후로는 본명 보다는 무미랑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았다고 합니다.

 

후난위성 TV <무미랑전기>

<무미랑전기>라는 제목은 말 그대로 '측천무후의 일대기'를 그린 드라마로, 2014년 후난위성 TV에서 방영되었습니다. 한국에서도 중화 TV에서 방영한 바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96부작으로 방영했으나, 중화TV에서는 선정성 문제, 스토리 전개 문제 등을 이유로 14편 줄인 82부작으로 편성, 방영하였다. 

 

이 드라마는 인기 배우 판빙빙이 주인공인 측천무후 역을 맡아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세트장이나 복식의 고증에도 힘을 많이 주어 판빙빙의 화보집 같다는 평가를 받기도 하였습니다. 확실히 <무미랑전기>는 볼거리 자체는 풍성한 드라마였습니다. 아래는 무미랑전기 포스터를 보면 화려한 복식이 눈에 띕니다. 

 

무미랑전기-포스터
무미랑전기-포스터

위의 무미랑전기 포스터를 보면 마치 일본의 기모노를 보는 것 같은 착각이 듭니다. 하지만 실제 당나라 시대의 복식이라고 합니다. 오히려 <무미랑전기>를 홍보할 때 빠지지 않고 언급되는 내용이 복식고증이 잘 되었다는 내용이기도 합니다. 

 

다만 <무미랑전기>는 극적 재미를 위해 궁중 암투를 강조하다보니 클리셰가 지나치게 뻔하다는 비판도 많습니다. 또한 주인공의 악행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원래는 착했지만 나중에 흑화되는 것처럼 묘사를 하여 실제 역사와 다른 부분도 상당히 존재합니다. 이 드라마를 보실 분들은 이러한 부분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무미랑전기 줄거리

<무미랑전기>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무측천(측천무후)는 가난한 출신에서 출발해, 여러 가지 시련과 장애를 극복하며 천민에서 우뚝 선 중국의 대왕족인 태평성대(太平聖皇后)로 올라가는 이야기를 다룹니다.

드라마는 무측천의 젊은 시절부터 그녀가 궁중에 입성하여 황제의 후궁으로 승진하는 과정, 그리고 그녀의 정치적인 음모와 권력의 투쟁, 그리고 사랑과 로맨스를 그립니다. 무측천는 인내와 지혜를 발휘하여 정치적인 경쟁을 승리하고, 강력한 세력들과의 맞서 싸워 궁중에서의 위기를 극복하며 자신만의 권력을 획득해 나가는 모습이 그려집니다.

TVING에서 무미랑전기를 스트리밍하고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TVING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드라마 무미랑전기에 대해 소개하였습니다. 참고로 아래에서 관심있는 태그를 클릭하면 관련있는 포스팅들을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바랍니다.

 

 

 

무협 영화 추천, 중화권 거장들의 4인 4색 무협영화

왕가위, 이안, 장예모, 허우하오시엔. 이들의 공통점은 중화권을 대표하는 영화 감독이자, 각자의 스타일대로 무협영화를 찍었다는 점이다. 이번 포스팅에는 중화권 감독들의 서로 다른 매력의

china-pedia.tistory.com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